2023. 1. 17. 12:28

nest g module board

 

nest: using nestcli

 

g: generate

 

module: schematic that i want to create

 

board: name of the schematic

2023. 1. 17. 11:37

npm install -g @nestjs/cli

 

설치 후 프로젝트 생성

 

nest new project-name

2023. 1. 14. 22:52

2023. 1. 13. 16:58

 

 

 

json_encode로 출력하면 되는데 그냥 출력하면 한글이

UNICODE라서 그냥 UNICODE 숫자로 나온다

두번째 인자로 JSON_UNESCAPED_UNICODE 로 넣어주어야

한글로 변경되어 나온다.

2023. 1. 11. 22:57

1. 개인 branch를 apple 이라고 한다

apple branch 생성

git branch apple

 

apple branch 생성

 

2. apple branch로 이동

 

git switch apple

 

3. 작업 후 commit 전 현재 branch 위치 확인

git branch

 

* apple

main

 

4. staging 영역 이동

git add .

 

5. commit 

git commit -m 'add login file'

 

6. apple pull

git pull origin apple

 

7. apple push

git push origin apple

 

8. merge 하기 위해 main branch로 이동

git switch main

 

9. 현재 branch 위치 확인

git branch

 

apple

* main

 

10. merge 하기 전 pull 진행

 

git pull origin main

 

11. apple branch merge 진행

 

git merge apple

 

12. conflict 해결

 

13. conflict 해결 후 commit

git add .

git commit -m 'solution'

 

 

 

 

2023. 1. 10. 16:11

php-mysql은 php와 mysql 또는 php와 mariadb를

연동하기 위한 패키지이다

 

이것을 설치해야

mysqli_connect( )를 이용해서 접속할 때 성공한다

 

sudo apt install php-mysql

 

그리고 하나 더 설정한다

 

phpinfo() 를 실행하면 php.ini위치를 찾을 수 있다

 

Loaded Configuration File /etc/php/8.1/apache2/php.ini

 

php.ini 파일을 열어서 

 

extension=mysqli

 

이 부분을 주석 해제하고 파일을 저장한다

 

그러고나서 다시 mysqli_connect( )를 실행하면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이것을 모르고 계속 실패를 해서 원인 찾는데 하루 걸렸다

무조건 배운 건 잊어버리기 때문에 적어야 한다

 

 

2023. 1. 8. 22:16

/etc/apache2/apache2.conf 에서 

 

<Directory /var/www>

  Options Indexes FollowSymLinks

  AllowOverride None

  Require all granted

</Directory>

 

이 부분에서 /var/www 으로 되어 있는 부분을 원하는 위치로 변경한다

 

하나의 파일을 추가로 변경해야 한다

 

/etc/apache2/sites-available/000-default.conf

 

ServerAdmin webmaster@localhost

DocumentRoot /var/www/html

 

DocumentRoot의 부분을 변경해야 한다

 

저장하고 나서 apache 2 서버를 중지한 후 다시 실행한다

 

apache2 중지

 

sudo service apache2 stop

 

꺼져 있는지 확인

 

ps aux | grep apache2

 

apache2 다시 시작

 

sudo service apache2 start

2023. 1. 8. 21:49

git을 private으로 된 것을 clone으로 받으려고 할 때

 

이름이나 비밀번호를 잘못입력하면 발생하는 오류이다

 

요즘은 로그인 비밀번호를 이용하지 않고

 

private access token을 입력한다

 

사용자 - settings - developer setting 에 들어가서

 

private access token을 발급한 후 

 

비밀번호에서 이것을 입력하면 정상적으로 받을 수 있다

2023. 1. 8. 21:21

fatal: destination path '.' already exists and 

 

is not an empty directory.

 

이런 메시지가 뜨면 소스를 받으려는 디렉토리에 파일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해당 디렉토리에 존재하는 모든 파일을 삭제 후 

 

다시 clone을 해서 받는다

 

sudo rm -r filename

2023. 1. 8. 20:56

전화로 신청했더니 전화가 와서 4개의 번호를 누르고 인증했다

 

문자로도 가입신청해서 정상 인증한 경우가 있는데 왜 

 

문자가 잘 안 오는지 모르겠다

2023. 1. 4. 17:52

VSCode로 AWS의 Ubuntu 접속을 했는데 

거기서 파일 수정이 안 되면 제목과 같은 메시지가 뜬다

 

이유는 리눅스에서 /var/www/html 폴더의 주인이 root 이고 

확인은 ls -l 로 확인한다

이 폴더의 주인을 접속한 사용자명 ubuntu로 변경해야 한다

cd .. 로 한단계 디렉토리 올라가서 /var/www 에서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입력한다

 

chown 폴더 주인을 ubuntu 로 변경하고 -R 은 하위디렉토리를 recursive 하게
전체 변경해준다는 이야기이다

명령어를 입력하고 나서 다시 ls -l을 입력하면 사용자명이 ubuntu로 변경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파일을 생성하거나 수정이 VS Code에서도 잘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023. 1. 4. 17:09

/var/www/html

2023. 1. 4. 16:59

1. Extension에서 remote-ssh 설치

 

 

2. F1 눌러서 Remote-SSH: Open SSH Configuration File 선택

 

Host apple
    HostName ec2-15-115-242-115.ap-northeast-2.compute.amazonaws.com
    User ubuntu
    IdentityFile D:\Document\Key\apple.pem

 

Host : 접속 호스트 이름

HostName: 접속 주소

User: 접속할 때 사용자 이름

IdentityFile: pem 경로

 

 

3. 다시 F1 눌러서 Remote-SSH: Connect to Host... 눌러서 apple 호스트 선택 후 접속

2023. 1. 3. 10:53

데이터 베이스 전체 보기

 

SHOW DATABASES;

 

 

스키마(데이터베이스 그룹) apple 생성

 

CREATE DATABASE apple;

 

 

스키마 apple 삭제

 

DROP DATABASE apple;

 

 

 

apple 스키마로 이동

 

USE apple;

 

 

 

스키마 내의 테이블 보기

 

SHOW TABLES;

 

테이블 생성

 

CREATE TABLE topic (

  id INT(10) NOT NULL AUTO_INCREMENT,

  title VARCHAR(100) NOT NULL,

  content TEXT NULL,

  createtime DATETIME NOT NULL,

  PRIMARY KEY(id));

 

생성한 테이블 항목 보기

 

DESC topic;

 

테이블 삭제 

 

DROP TABLE topic;

 

2022. 12. 28. 11:25

* origin/master

  

 - 원격 저장소 [origin]의 브랜치인 [master]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음

 

* origin/HEAD

 

 - 원격 저장소 [origin]을 복제해 올 때 다운로드 되는 커밋의 위치를 나타냄

 - 일반적으로 [origin/master]와 동일한 위치를 가리킴

 

* master

 

 - 로컬 저장소 브랜치인 [master]의 위치를 나타냄

 

 

쉽게 얘기하면 origin/master는 원격 저장소를 가리키고

 

master는 로컬 저장소를 가리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