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프로그래밍/Real Time Streaming 에 해당되는 글 3건
- 2015.08.11 live555 스트리밍 파일 주소 예제
- 2015.07.20 live555 리눅스에서 빌드하기
- 2015.05.15 Windows에서 Live555 빌드하기
"rtsp://127.0.0.1:8554/testStream"
* Innosetup command
D:\publish\${JOB_NAME}\${GIT_BRANCH}\${BUILD_NUMBER}-${GIT_COMMIT}\x86
copy latest\CameraViewer\Release\*.exe latest\SetupFile
copy latest\live555Sample\win32\ProxyServer\Release\*.exe latest\SetupFile
copy latest\live555Sample\win32\ProxyServer\Release\*.dll latest\SetupFile
del /f /s /q Output
"C:\Program Files (x86)\Inno Setup 5\ISCC.exe" ojt_md.iss /dMyBuildNumber="%BUILD_NUMBER%"
* DirectDraw 순서
1. LPDIRECTDRAW 객체를 선언하고 DirectDrawCreate( )를 호출한다.
2. 윈도우 모드를 위해 협력 수준을 정한다. SetCooperativeLevel( )
3. 디스플레이 모드를 정한다. SetDisplayMode( )
4. 주요 평면을 생성한다. CreateSurface( )
5. 배경 평면을 생성한다. GetAttachedSurface( )
* 리눅스 순서
1. CentOS 설치
2. 이더넷 설치
3. SSH 설치
4. Samba 설치
5. g++ 설치
6. Hello world 출력
* WebRTC 책 이름
Getting Started with WebRTC
WebRTC Blueprints
Browser Networking
WebRTC Integrator's Guide
WebRTC Cookbook
Real-time communication with WebRTC
WebRTC: APIs and WebRTC Protocols
* 리눅스 주소
http://kldp.org
http://man.kldp.org/wiki
http://debianusers.org/
http://www.gnome.or.kr
http://www.suse.or.kr
http://www.ubuntu.or.k
* 리눅스 명령어
yum install net-tools
service network restart
g++ -c : no entire program - just object
g++ -o : 실행 파일의 경로와 이름을 알려주는 용도
이 옵션을 생략하면 컴파일러는 a.out 파일 생성
* jQuery 명령어들의 리스트
getElementByID('myUser')
<head>
<meta charset="UTF-8"/>
<script src="greeting.js"></script>
jQuery : 1. jQuery의 로직을 쓰기 위해
jQuery의 자바스크립트 파일을
자신의 웹페이지로 가져와야 함
jQuery의 자바스크립트 코드 다운 받아 읽어옴
2. API documentation
http://www.live555.com/liveMedia/
여기에 가서 소스를 다운 받는다
1. .tar.gz 확장자로 되어 있는 파일을 다운 받는다.
2. 압축을 푼다.
3. cd를 이용해서 live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4. ./genMakefiles <os-platform> 을 실행한다
- 여기서 <os-platform>은 "config.<os-platform>" 파일에 정의된 당신의 타겟 플랫폼이다.
ex) "linux" 또는 "solaris"
- 이것은 "live" 디렉토리와 각각의 서브 디렉토리에서 Makefile을 생성한다
5. make를 실행한다
- 만약 "make"가 실패하면 적절한 "config.<os-platform> 파일을 약간 수정할 필요가 있고,
다시 genMakefile을 "live" 디렉토리에서 재실행한다.
( COMPILE_OPTS 정의를 위해 또 다른 "-I <dir>" 플래그를 추가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 일부 사람들은 디폴트로 미리 설치된 "make"의 버전보다 "gmake"라고 불리는 "make"의
GNU 버전이 더 잘 된다는 보고를 했다
- 만약 "gcc"버전이 3.0 이상이면, CPLUSPLUS_FLAGS에 -Wno-deprecated 플래그를
추가하기를 바랄 수도 있다
- 타켓 플랫폼에 대해 "config.<os-.platform>"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템플릿으로 존재하는 파일들 중에 하나를 사용하여 시도해라
* 만약에 원하면, "make install"을 실행함으로써 헤더, 라이브러리, 응용프로그램을
또한 설치할 수 있다
0. wget 설치
# yum install -y wget
1. .tar.gz 확장자 파일 다운
# wget www.live555.com/liveMedia/public/live555-latest.tar.gz
2. 압축을 푼다
# tar -xvzf live555-latest.tar.gz
3. cd를 이용해서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 cd live
4. ./genMakefiles <os-platform>을 실행한다
# ./genMakefiles linux-64bit
5. make를 실행한다
# make
6. RTSPClient 예제를 실행해본다
# cd testProgs
# ./testRTSPClient rtsp://xxx.xxx.xxx.xxx/ID
1. 소스 파일을 다운 받아 압축을 푼다.
http://www.live555.com/liveMedia/public/
2. 압축을 풀은 폴더 내에 win32config 파일 내에서 다음을 수정한다.
*
TOOLS32 = c:\Program Files\DevStudio\Vc
=>
TOOLS32 =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 11.0\Common7\IDE
(현재 Visual Studio 실행파일[deven.exe]가 있는 폴더 위치로 변경)
* LINK_OPT_0 = $(linkdebug) msvcirt.lib
msvcirt.lib => msvcrt.lib 로 변경 ( i를 빼줌 )
3. cmd 쉘 내에서 live 폴더로 이동해서 genWindowsMakefiles 를 입력
=> 그러면 각 서브디렉토리 내에 ".mak" 파일이 만들어짐
(Microsoft Visual Studio에 의해 사용하기 쉬운 make 파일)
4. Visual Studio 내에서 이 Makefile들을 사용하기 위해
- Open Workspace
- Makefiles(.mak) 선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