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live555.com/liveMedia/
여기에 가서 소스를 다운 받는다
1. .tar.gz 확장자로 되어 있는 파일을 다운 받는다.
2. 압축을 푼다.
3. cd를 이용해서 live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4. ./genMakefiles <os-platform> 을 실행한다
- 여기서 <os-platform>은 "config.<os-platform>" 파일에 정의된 당신의 타겟 플랫폼이다.
ex) "linux" 또는 "solaris"
- 이것은 "live" 디렉토리와 각각의 서브 디렉토리에서 Makefile을 생성한다
5. make를 실행한다
- 만약 "make"가 실패하면 적절한 "config.<os-platform> 파일을 약간 수정할 필요가 있고,
다시 genMakefile을 "live" 디렉토리에서 재실행한다.
( COMPILE_OPTS 정의를 위해 또 다른 "-I <dir>" 플래그를 추가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 일부 사람들은 디폴트로 미리 설치된 "make"의 버전보다 "gmake"라고 불리는 "make"의
GNU 버전이 더 잘 된다는 보고를 했다
- 만약 "gcc"버전이 3.0 이상이면, CPLUSPLUS_FLAGS에 -Wno-deprecated 플래그를
추가하기를 바랄 수도 있다
- 타켓 플랫폼에 대해 "config.<os-.platform>"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템플릿으로 존재하는 파일들 중에 하나를 사용하여 시도해라
* 만약에 원하면, "make install"을 실행함으로써 헤더, 라이브러리, 응용프로그램을
또한 설치할 수 있다
0. wget 설치
# yum install -y wget
1. .tar.gz 확장자 파일 다운
# wget www.live555.com/liveMedia/public/live555-latest.tar.gz
2. 압축을 푼다
# tar -xvzf live555-latest.tar.gz
3. cd를 이용해서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 cd live
4. ./genMakefiles <os-platform>을 실행한다
# ./genMakefiles linux-64bit
5. make를 실행한다
# make
6. RTSPClient 예제를 실행해본다
# cd testProgs
# ./testRTSPClient rtsp://xxx.xxx.xxx.xxx/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