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7. 28. 11:13
  • CentOS7 수동 네트워크 설정         

- 네트워크 — 어댑터 1 — 네트워크 어댑터 사용하기(E) 체크 — 다음에 연결됨(N) : 브리지 어댑터 — 무작위 모드 : 가상 머신에 허용 — 케이블에 연결됨 체크

- 네트워크 — 어댑터 2 — 네트워크 어댑터 사용하기(E) 체크 — 다음에 연결됨(N) : 브리지 어댑터 — 무작위 모드 : 가상 머신에 허용 — 케이블에 연결됨 체크

 

  • 네트워크 설정 이전에 디바이스 이름 확인

# ip addr 을 입력하여 디바이스 이름을 확인한다

 

위의 그림에서는 enp0s3, enp0s8의 두 개의 디바이스 이름이 보인다

 

어댑터에 네트워크 설정을 하기 전에 디바이스 이름을 바꾸고 싶으면 다음을 참고한다


http://professorleejaeman.tistory.com/entry/%EC%9D%B4%EB%8D%94%EB%84%B7-%EB%94%94%EB%B0%94%EC%9D%B4%EC%8A%A4-%EC%9D%B4%EB%A6%84-%EB%B3%80%EA%B2%BDChanging-Ethernet-Device-Names


  • 어댑터 1에 대한 네트워크 설정

root@localhost ~]#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p0s3(DEVICE_NAME)

- 여기서 DEVICE_NAME은 Ethernet device name

- ( 이 예제에서는 DEVICE_NAME="centos_enp0s3" 이걸 입력)

  • #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DEVICE_NAME

- 여기에 다음과 같이 입력

 

- 저장 (편집 후 ESC - :wq - 엔터)

- MAC 주소는 VirtualBox - 설정 - 네트워크 - 어댑터1 - 고급(D) - MAC 주소(M) 에 있는 것으로 설정
- BOOTPROTO = static 은 고정 IP를 사용하겠다는 의미다
- IP6는 사용하지 않으므로 다 no를 한다
- IPADDR 은 IP 주소이다.
- NETMASK는 서브넷 마스크이다
- GATEWAY는 게이트웨이 IP 주소이다
- DNS1은 도메인 네임 서버 IP 주소이다
- DNS2는 서브 도메인 네임 서버 IP 주소이다
- ONBOOT=yes 는 컴퓨터가 시작될 때 on으로 하겠다는 의미다

 

 

  • 어댑터 2에 대한 네트워크 설정

root@localhost ~]#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p0s3(DEVICE_NAME)

- 여기에 다음과 같이 입력

- 저장 (편집 후 ESC - :wq - 엔터)

- MAC 주소는 VirtualBox - 설정 - 네트워크 - 어댑터2 - 고급(D) - MAC 주소(M) 에 있는 것으로 설정


 *  참고로 DHCP 설정은 다음과 같이 한다



- 리부팅(껐다 켜기)

- IP 주소는 고정 IP로 사용(브리지 설정)

 

  • 명령어 용어 

 

  • 네트워크 통신 테스트

    - yum check-update 입력해서 업데이트를 진행하는지 확인
    - ping으로 테스트

 

  • 필수 패키지 설치

    $ yum install -y bind-utils                     // 네트워크 유틸리티
    $ yum install -y vim                             // vi 개선 버전
    $ yum install -y ntsysv                          // 서비스 관리
    $ yum install -y system-config-firewall-tui // 방화벽 관리
    $ yum install -y system-config-network-tui // 네트워크 관리
    $ yum install -y setuptool                      // 관리프로그램 설치
    $ yum install -y ntp                             // 시간 자동 설정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