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만 교수의 공간
블로그 메뉴
HOME
TAG
MEDIA LOG
LOCATION LOG
GUEST BOOK
ADMIN
WRITE
검색결과 리스트
2025/03/01
에 해당되는 글
1
건
2025.03.01
STUN/TURN 서버
2025. 3. 1. 21:21
STUN/TURN 서버
카테고리 없음
2025. 3. 1. 21:21
NAT - Network Address Translation
Private IP를 Public IP로 1 대 1 대응시켜 변환하는 장치
IP 패킷이 있는 출발지 및 목적지의 IP 주소와
TCP/UDP 포트 숫자 등을 바꿔 재기록하면서 네트워크 트래픽을
주고 받게 하는 기술
장점 - IP 주소 절약, 보안
WebRTC는 peer to peer 방식으로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음
보내고 받는 Peer의 Public IP를 알고 있어야 함
Public IP는 요청을 보낼 때마다
private IP > public IP 로 NAT가 변환
동일한 Public IP로 통신할 수 없음
현재는 NAT와 방화벽을 필수 포함
ICE - Interactive Connectivity Establishment
두 단말이 서로 통신할 수 있는 최적의 경로를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레임워크
두 단말이 방화벽이 존재하면 통과하고
단말의 Public IP가 없다면 유일한 주소값을 할당
라우터가 Peer 간의 직접 연결을 허용하지 않을 때는 데이터를 릴레이
ICE를 사용하면 NAT가 통신을 위해 필요한 모든 포트를 열고
두 단말 모두 다 연결할 수 있는 IP주소, 포트에 대한 완전한 정보를 갖게 된다
STUN - Session Traversal Utilities for NAT
STUN 서버 - 해당 Peer의 Public IP 주소를 보내는 역할
STUN 방식 : 단말이 자신의 공인 IP 주소와 포트를 확인하는 과정에 대한 프로토콜
클라이언트가 STUN 서버에 요청을 보내면
공인 IP 주소와 함께 통신에 필요한 정보를 보내줌
클라이언트는 이 정보를 이용해 다른 기기와 통신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통신이 되지 않으면 TURN 서버로 넘김
TURN - Traversal Using Relay NAT
STUN의 확장
NAT 환경에서 릴레이해서 통신
공유하기
URL 복사
카카오톡 공유
페이스북 공유
엑스 공유
게시글 관리
구독하기
이재만 교수의 공간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이전
1
다음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컴퓨터 연구
Computer Vision
Linux
Architecture
프로그래밍
OpenCV
OpenGL
STL
C++
C#
Python
React
Nodejs
CUDA Programming
Network Programming
Open Inventor
Boost C++
System Programming
MFC
Real Time Streaming
DirectX
Kotlin
JavaScript
Unity3D
FFMPEG
Clean Code
VTK
Qt
Android
Machine Learning(기계학습)
운동
Computer Graphics
Ray Tracing
Radiosity
Image Processing
Basic Processing
Image Inpainting
독서
서평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링크
글 보관함
태그목록
공지사항
최근에 받은 트랙백
이전 달의 달력을 보여줍니다.
2025.3
다음 달의 달력을 보여줍니다.
포스팅달력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istory
rss
티스토리툴바
닫기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