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Kotlin
람다식
이재만박사
2020. 10. 7. 09:44
* 람다식
람다식은 람다 대수(Lamda Calculus)에서 유래한 것
{ x, y -> x + y } // 람다식의 예(이름이 없는 함수 형태)
위의 식을 보면 함수의 이름이 없고 화살표 (->)가 사용
수학에서 말하는 람다 대수는 이름이 없는 함수
2개 이상의 입력을 1개의 출력으로 단순화한다는 개념
함수형 프로그래밍의 람다식
- 다른 함수의 인자로 넘기는 함수
- 함수의 결과값을 반환하는 함수
- 변수에 저장하는 함수
* 람다 대수
변수의 네임 바인딩과 대입의 방법을 이용하여 함수 정의, 함수 적용, 귀납적 함수 추상화를 수행하고 수학 연산을 표현하는 형식